재의 수요일(Ash Wednesday)

이번 주 수요일은 교회 절기상으로 사순절이 시작되는 첫 날입니다. 이 사순절의 첫 날을 우리는 재의 수요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재의 수요일로부터 기독교의 사순절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재의 수요일에 반드시 하는 의식행사가 하나 있습니다. 바로 이마에 십자가 모양으로 재를 바르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러분께서는 왜 이마에 재를 바르는지를 아십니까?

성경에서는 “재를 덮는 행위”를 회개의 행위로 간주합니다. 예를 들면, 욥이 하나님께 두 번째 응답하는 부분인 욥기서 42장 6절에 보면, 욥은 ”티끌과 잿더미 가운데서 회개”한다고 고백합니다. 다니엘서 9장은 포로 이후 공동체의 회개기도로 다니엘의 기도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니엘서 9장에서 다니엘은 “금식하며, 베옷을 입고, 재를 무릅쓰고 하나님께 기도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약성경에서 우리는 “재를 쓴다는 것”이 바로 자신의 잘못을 회개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이와 마찬가지로, 재의 수요일에 우리가 이마에 재를 바르는 행위 역시도, 지난 날 우리의 죄와 허물을 우리 스스로가 재를 뒤집어쓰듯이 회개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또한 구약에서의 재란 “회개를 상징하는 것뿐 아니라, 인간은 하나님 없이는 살 수 없는 존재라는 의미”를 가지고 있습니다. 왜냐하면 우리가 재의 수요일 재를 이마에 바르는 의식을 행할 때, 창세기 3장 19절의 말씀을 일러줍니다. 하나님이 창조하신 인간인 아담이 죄를 범한 후, 하나님께서 그에게 하신 말씀입니다.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가리라.” 인간은 신이 아니라 창조된 존재라는 것을 다시 한 번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또한 인간은 스스로 구원할 수 없으며, 인간에게 닥쳐질 사망의 문제, 즉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창조자 하나님이 창조하신 인간의 대표인 아담에게 인간은 “흙으로 돌아가는 유한한 존재”라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고대 바벨론 신화 중 하나인 길가메쉬 서사시에는 길가메쉬라는 주인공이 ”유한한 인간이 영원한 신의 세계에 참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영원한 생명을 얻은 유트네피스팀에게 던집니다. 그리고 유트네피스팀은 인간이 스스로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길가메쉬에게 알려줍니다. 그러나 성경은 고대 바벨론이 가졌던 세계관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경은 분명히 우리에게 말씀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정해진 사실이고, 그 후에는 반드시 심판이 있다(히 9:27)고 말입니다. 인간은 스스로를 구원할 수 없으며 또한 영원한 생명을 가진 존재이지도 않습니다. 우리가 흙으로 창조되었기에 흙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인 것입니다.

바로 재의 수요일이란 이런 우리의 실존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우리의 삶을 깊이 성찰하는 날입니다. 언젠가는 흙으로 돌아가니 세상이 주는 영예와 물질의 유혹에 매이지 말고, 하나님 없이 살 수 없는 인간의 연약함과 부족함을 고백하는 참으로 의미 있는 날입니다.

개체교회
빈 의자는 우리가 한동안 만나지 못했던 사람들을 생각나게 한다. 사진 출처, 연합감리교공보부.

최근 교회에 출석하지 못한 분들께 보내는 편지

한동안 함께하지 못한 이들을 다시 공동체로 초대하고, 예배와 기도, 교제와 봉사를 통해 함께 자라가기를 권하는 편지다. 이글은 무엇보다 개인적인 초대와 지속적인 기도는 떠나있던 이들을 자연스럽게 돌아오게 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고 말한다.
선교
2025년 8월 4일, 오하이오주 클리블랜드하이츠에 소재한 세이비어 연합감리교회에서 열린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개회예배에서, 한 참석자가 두손을 들고 선교를 위해 기도하고 있다. 이번 행사는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 모자의 공헌을 기리고, 기독교대한감리회와 연합감리교회의 선교 역사와 신앙, 더 나아가 선교의 미래를 함께 나누는 자리였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선교는 하나님의 미래에 투자하는 것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마지막 날인 2025년 8월 6일, 연합감리교회 한인총회를 대표해 발제한 이창민 목사는 메리 스크랜턴의 담대한 발걸음처럼, 오늘 우리의 뮤추얼 선교가 후세들에게 믿음과 사랑, 헌신으로 이어질 질문과 유산이 되기를 소망했다.
선교
2025년 8월 6일,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에서 연합감리교회 박정찬 감독이 폐회예배에서 말씀을 전하고 있다. 박 감독은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에게 왜 모든 것을 버리고 땅끝까지 가서 낯선 사람들을 위해 목숨을 바쳤는지 묻는다면, 그들은 아마도 ‘사랑이 우리를 그렇게 하도록 이끌었습니다.’라고 답했을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연합감리교뉴스.

담대한 믿음, 흔들림 없는 소망, 자신을 희생한 강렬한 사랑의 영

2025년 8월 6일, <오하이오·한국 및 그 너머의 감리교 선교 기념대회> 폐회예배에서 연합감리교회 박정찬 감독은 “메리와 윌리엄 스크랜턴에게 왜 모든 것을 버리고 땅끝까지 가서 낯선 사람들을 위해 목숨을 바쳤는지 묻는다면, 그들은 아마도 ‘사랑이 우리를 그렇게 하도록 이끌었습니다.’라고 답했을 것입니다.”라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