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인인 것을 알고만 살아도...

사람을 믿는다는 것은 신뢰가 지켜질 것을 믿는 것이겠지만, 사람이기에 그렇지 못할 수도 있음을 아는 것이기도 하다.

내가 그럴 수 있기에 더욱 그렇다. 나인들 잘하고 싶겠지만, 잘 할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나도 하지 못할 수가 있고, 해도 안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내가 그러하기에 남도 그럴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사람을 믿으면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은 그 사람을 못미더워서 그렇기도 하겠지만,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내가 남에게 믿음의 터가 되어주지 못하듯이, 남도 그럴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죄인이라는 것을 아는 것도 사람을 진실로 믿을 수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즉 누구나 잘못될 수 있고, 실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다를 수가 있다. 못 지킬 수가 있고, 하지 못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불신하고 살라는 것이 아니다. 그럴 수 있음을 알고, 너무 지나치지 말라는 것이다. 어쩔 수 없어 배신할 수도 있음을 알고, 해도 해도 안 되기에 포기할 수도 있음을 알라는 것이다.

사람의 일이라 하여 사람이 해서 안 될 일이 없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분명히 사람이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기자신을 너무 모르고 행하는 것이다.

하는 일이 정말로 중요하고, 하고자 하는 일이 반드시 이루어지기를 원할지라도, 사람은 너나할것없이 모두가 죄가 있음을 알고, 거기에 목숨까지 걸지 말아야 할 것이다.

글쓴이: 이선영 목사, 덴버연합감리교회, CO
올린날: 2015년 5월 8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개체교회
영화 <장미의 이름>의 소재가 된 울베르토 에코 장편소설 <장미의 이름>의 표지 중 일부.

영화 《장미의 이름 The Name of the Rose》에 나타난 기독교윤리 1-2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은 중세 기독교 신학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중용의 교리와 신앙의 실천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통찰로 이어졌다. 김영일 교수는 종교는 인간에게 의미와 소속감, 평화와 윤리, 더 나아가 사회 통합과 변화의 동기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사회를 외면하는 교회는 살아 있는 교회가 아니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6월 4일 오전 국회 로텐더홀에서 이재명 대통령이 제21대 대한민국 대통령 취임선서를 하고 있다. 사진, 국회사진기자단.

2025년 대선, 어떻게 보아야 하나?

박충구 교수는 계엄으로 인해 치러진 2025년 대선을 돌아보며, 하나님은 억압받는 이들이 해방되고, 이 땅에서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원하시며, 그 길은 민주주의 안에서만 열린다고 말한다.
이민
6월 10일, 로스앤젤레스 다운타운에서 연합감리교회 경제정의목회자및평신도연합(Clergy and Laity United for Economic Justice)이 주최한 기도회를 주방위군이 지켜보고 있다. 현장에 놓인 포스터에는 참가자들이 스페인어로 쓴 평화, 사랑, 평등을 촉구하는 구호가 적혀 있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민세관집행국(ICE)에 항의하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주방위군과 해병대를 배치하자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연합감리교인들은 이민자 권리를 옹호하는 동시에 긴장을 완화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사진 제공, 경제정의목회자및평신도연합.

LA 이민자 권리 및 평화 옹호 운동…미 감리교인들, 긴장 완화에 나서다

트럼프 행정부가 이민세관집행국(ICE)에 항의하는 시위를 진압하기 위해 주방위군과 해병대를 배치하자 로스앤젤레스 지역의 연합감리교인들은 이민과 권리를 옹호하는 동시에 긴장된 상황을 완화하기 위해 힘쓰고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