죄인인 것을 알고만 살아도...

사람을 믿는다는 것은 신뢰가 지켜질 것을 믿는 것이겠지만, 사람이기에 그렇지 못할 수도 있음을 아는 것이기도 하다.

내가 그럴 수 있기에 더욱 그렇다. 나인들 잘하고 싶겠지만, 잘 할 수 있는 것만은 아니다. 나도 하지 못할 수가 있고, 해도 안 되는 경우가 있는 것이다. 내가 그러하기에 남도 그럴 수 있는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사람을 믿으면 안 된다고 말하는 것은 그 사람을 못미더워서 그렇기도 하겠지만, 어쩔 수 없는 경우가 있기 때문이기도 하다. 내가 남에게 믿음의 터가 되어주지 못하듯이, 남도 그럴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죄인이라는 것을 아는 것도 사람을 진실로 믿을 수 있는 것 중의 하나이다. 즉 누구나 잘못될 수 있고, 실수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사람은 다를 수가 있다. 못 지킬 수가 있고, 하지 못할 수가 있는 것이다.

그렇다고 불신하고 살라는 것이 아니다. 그럴 수 있음을 알고, 너무 지나치지 말라는 것이다. 어쩔 수 없어 배신할 수도 있음을 알고, 해도 해도 안 되기에 포기할 수도 있음을 알라는 것이다.

사람의 일이라 하여 사람이 해서 안 될 일이 없다고 생각하면 오산이다. 분명히 사람이 할 수 없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는 것이다. 사람이 모든 것을 할 수 있다고 생각하는 것은 자기자신을 너무 모르고 행하는 것이다.

하는 일이 정말로 중요하고, 하고자 하는 일이 반드시 이루어지기를 원할지라도, 사람은 너나할것없이 모두가 죄가 있음을 알고, 거기에 목숨까지 걸지 말아야 할 것이다.

글쓴이: 이선영 목사, 덴버연합감리교회, CO
올린날: 2015년 5월 8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신학
예수께서 사시던 시대에 화장은 로마인들 사이에서는 널리 행해졌지만, 육체의 부활을 믿었던 유대인들과 기독교인들 사이에서는 잘 행해지지 않았다. 사진 출처, 메리 W, 픽사베이.

연합감리교회는 장기기증과 화장을 뭐라 설명하나요?

연합감리교회는 11월 둘째주일(2025년은 11월 9일)을 장기기증주일로 지킵니다. 장기 기증과 화장에 대한 최근 경향과 연합감리교회의 입장을 소개합니다.
신학
 <만인성도주일>이 다가오고 있다. 연합감리교인들은 장례 예배와 추모 예배를 드리며 죽은 사람들을 향한 하나님의 자비와 돌보심을 간구합니다. 사진, 케이트 배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인들도 죽은 사람들을 위한 기도를 드립니까?

만인성도주일이 다가오고 있습니다. 연합감리교회에서는 11월 1일 <만인성도일(All Saints Day)> 또는 11월 첫 주일을 <만인성도주일>로 지킵니다. 이와 관련하여 왜 연합감리교인들이 추모 예배를 드리고 죽은 사람들을 위한 기도를 드리는지 신학적이고 역사적인 배경을 살펴봅니다.
신학
버지니아주 요크타운의 한 가정이 할로윈을 기념하기 위해 집 앞마당을 유령 인형 등으로 장식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가 생각하는 현대적 의미의 할로윈이란?

연합감리교회에서는 할로윈과 만인성도주일을 통해, 어려운 시기를 살아가는 우리에게 거룩한 삶에 대한 이해와 다가올 부활을 향한 소망을 강조합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