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벌거숭이 터치’

왜 인간은 동물처럼 두터운 털가죽을 입고 있지 않을까요? 지난 겨울의 그렇게 혹독한 추위에 우리 몸에 두터운 털(fur)만 있었더라도 우리는 정말 든든하게 겨울을 날 수 있었을 텐데 말입니다. 저는 진화론을 숭상하지 않지만, 본래 인간도 동물처럼 아주 훌륭한 털가죽(fur)을 입고 창조함을 받았다고 생각합니다. 그런데 그것이 사라져버리고 벌~건 피부만 남은 것이지요. 어떻게 그렇게 되었냐구요? 하나님께 순종하지 않은 인간이 '타락' 이후 벌거숭이가 되는 벌을 받았기 때문입니다. 창세기를 보면 아담과 하와가 범죄한 이후에 "벌거벗은줄 알게 되었더라"고 합니다. 죄를 지은 인간은 하나님 앞에서 자기 몸(존재) 모든 것이 드러나는 '벌거숭이'의 존재가 된 것입니다. 벌거벗음을 알고 난 후 '부끄러움'도 아는 존재도 되었습니다. 그래서 아담과 하와는 인위적으로 무화과 잎사귀를 잘라 자기의 부끄러운 부분을 가려보려 했습니다. 오늘날에도 우리 모두 얼마나 스스로를 가리며 살고 있습니까? 옷에 무척 신경을 쓰고 있지요? 옷하나 근사하게 입으면 속사람이 보이지 않는 듯 합니다. 겉모습을 화려하게 치장합니다. 옷이 날개라고 화려한 옷을 입으면서 우리 스스로가 아주 근사한 존재가 된양 착각을 합니다. 신분, 지위, 세상의 자랑거리 등도 그런 겉옷이지요. 그 것으로 우리 자신의 가치를 세워보려 합니다. 그러면서 벌거벗은 속 '부끄러움'은 잊고 사는 것이지요.

하나님께서도 우리가 이렇게 우리 자신을 부끄러워 하는 것을 아십니다. 그래서 안타까운 마음에서 짐승의 가죽으로 옷을 지어 아담과 하와를 입히셨지요. 그 이후에도 수많은 선지자들을 통해 우리 내면의 부끄러운 굳은 살을 펴 아름다운 본래 모습을 되찾게 해주시려 애쓰셨지요. 그런데 목이 곧은 인간은 하나님의 은혜를 거부하며 계속 벌거벗은 모습으로 돌아갑니다. 하지만, 사랑 많으신 하나님은 결코 포기하지 않으십니다. 우리의 부끄러움을 없애주시려 결국 예수님을 보내십니다. 죄성으로 얼룩진 우리의 추악한 몰골을 완전히 청소하시고 부끄러운 우리 존재가 거룩한 하나님의 백성으로 회복되도록 예수님을 우리에게 주셨습니다. 예수께서 우리에게 찾아오셔서 무엇을 하신지 아십니까? 벗으셨습니다. 발가 벗기신 채로 십자가에 못 박히어 온갖 아픔은 물론 부끄러움까지 감당하셨습니다. 그가 그 부끄러움을 다 당하심으로 우리의 몰골을 다 보이신 것입니다. 우리 죄값을 청산하신 것이지요.

십자가에서 상처 입은 그의 손과 발은 세상의 온갖 추위와 폭력에 떨고 있는 벌거벗은 우리를 감싸 안아주십니다. 사랑과 희생의 그 따뜻한 온기로 상처 입은 우리를 '터치'해 주십니다. 십자가에서 흘리신 그 보혈의 피는 우리 상처 안으로 깊숙히 흘러 들어와 모든 아픔마저 씻어내 버립니다. 바로 이 사랑의 터치! 이는 벌거벗은 우리를 따스한 성령으로 감싸 안으시는 하나님의 사랑의 언어입니다. 사랑의 언어 네 번째가 바로 이 '터치'입니다. 우리도 예수님처럼 사랑의 마음 가득 담은 두 손으로 서로를 보듬고 끌어 안아 상처 입은 영혼을 치유하며 부끄러운 존재를 다시 일으켜 세워 주는 주님의 참된 제자가 됩시다. 세상에 '희망 터치'를 하는 사람들이 되어 봅시다. 고난주일, 우리 모두 주님의 '터치'를 경험합시다! 아멘! 샬롬!

 

신학
연합감리교 창시자의 한 사람인 찰스 웨슬리가 작사한 찬송 “예수 부활했으니”는 부활과 새 생명을 노래한다. 이미지, 캐스린 프라이스, 연합감리교 공보부.

부활절이 왜 50일인가요?

“부활의 백성들”인 우리는 50일간의 부활절 동안 교회의 탄생과 오순절의 성령강림을 기념하고, 어떻게 그리스도의 충성된 제자로서의 삶을 살아가야 할지 곰곰이 생각합니다.
개체교회
영화 <Her(그녀)>의 트레일러 갈무리.

인공지능 HER의 사랑과 외롭고 불완전하고 서툰 인간의 사랑과…

현혜원 목사는 인공지능 시대에 AI와의 사랑을 나눈 영화 HER를 리뷰하며, “하나님은 완벽한 기계의 논리 속이 아니라, 때로는 미숙하고 불안정하지만, 진심으로 서로를 사랑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거하십니다.”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