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이 우리를 살립니다.

사람의 뇌 속에는 여러 가지 뇌파가 나오는데, 깨어있는 낮 동안에는 주로 베타(b)파가 나온다고 합니다. 이것은 사람에게 스트레스를 주는 뇌파라서 낮에는 오감으로 아무리 좋은 것을 먹고, 듣고, 본다고 할지라도 남는 것은 결국 스트레스와 피곤뿐이게 된다고 합니다. 그런데 밤에 잠을 자는 동안에는 알파(a)파가 나와 우리 몸에 엔도르핀을 분비시키는데, 잠을 푹 자고 나면 저절로 병이 낫기도 하고 기분이 좋아지는 것도 이 때문이라고 합니다.

그런데 사람이 깨어있을 때에도 알파파가 나올 때가 있는데, 그것은 사람이 웃을 때, 긍정적으로 생각 할 때 그리고 사랑할 때라고 합니다. 예를 들어 사랑할 때 기분이 좋은 것은 뇌 속에서 알파파가 나옴과 동시에 엔도르핀이 분비되기 때문입니다.

최근 의학계에서 발견한 호르몬 중에 ‘다이돌핀(Didorphin)’이라는 것이 있는데, 이것의 효과는 엔도르핀의 4,000배라는 사실이 발표되었습니다. 이처럼 강력한 다이돌핀 호르몬은 언제 우리 몸에서 생성될까 연구해 봤더니, “감동받을때” 였다는 것입니다. 좋은 노래를 들었거나 아름다운 풍경에 압도되었을 때, 전혀 알지 못했던 새로운 진리를 깨달았을 때, 주변 사람들로부터 애정을 주고받을 때, 그 순간 우리 몸에서는 놀라운 변화가 일어나게 됩니다. 평소엔 전혀 반응 없던 호르몬 유전자가 무언가에 감동하여 가슴이 벅차게 되면 활성화되어, 엔도르핀, 도파민, 세로토닌, 다이돌핀이라는 아주 유익한 호르몬들을 생산하기 시작하여, 우리 몸의 면역체계에 강력하고 긍정적인 작용을 일으켜 병도 고치고, 암을 공격하는 대단한 효과를 갖게 되는 것입니다.

요즘 교회 안에 질병으로 고통받고 있는 사랑하는 지체들이 많이 있습니다. 그런데 중보기도로 심방으로 때로는 필요한 것들을 공급해주는 사랑으로 이분들을 섬겨주시는 센터빌의 여러 교우들로 인해서 사랑과 위로가 나누어지고 감동이 전달되고 있음을 보게 됩니다. 우리가 서로 사랑할 때 우리 안의 죽어가던 모든 연약한 것들이 다시 생명을 얻어 사랑의 능력으로 다시 살아나게 될 것이라는 확신이 듭니다.

“서로 사랑하라”라는 주님의 지상명령이 우리에게 왜 주어졌음을 그래서 더 간절히 마음에 새기는 요즘입니다. 사랑이 결국 우리를 살리게 해 줍니다.

사회적 관심
폴 공(Paul Kong) 목사가 캄보디아 프놈펜의 희망직업학교에서 10월 13일부터 17일까지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서 빗물 저장 탱크가 식수로 전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고 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인 <희망의다리>가 공동으로 주최했다. 사진, 김응선(Thomas E. Kim)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동남아시아에서 신앙과 과학이 만나 ‘생명수’를 길어 올린다

2025년 10월 13~17일, 프놈펜 희망직업학교에서 열린 워쉬아카데미(WASH Academy)에 동남아 5개국의 교회와 사역자들이 참여해 물 부족 문제 해결과 지속가능한 식수 확보 방안을 모색했다. 이번 훈련은 연합감리교회 세계선교부와 한국 NGO <희망의다리>가 공동 주최했다.
신학
뉴올리언즈의 제일그레이스연합감리교회 션 모세 목사(오른쪽)가 교회에 등록한 교인 가정을 환영하고 있다. 사진, 캐티 길버트,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으로 등록한다는 의미는?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이 된다는 것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자 오셨던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의 모임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신앙 간증
2018년 1월 30일, 플로리다 세인트피터즈버그에 소재한 올렌데일 연합감리교회의 앤디 올리버 목사(왼쪽)가 탬파 이민 사무소 앞에서 루이스 블랑코와 함께 기도하고 있다. 교회는 블랑코와 가족이 추방 절차를 겪는 동안 그들에게 지지를 보냈다. 올리버 목사는 현재도 플로리다의 소외된 공동체와 연대하며, 주 내 이민자 구금시설 앞에서 매주 시위를 이어가고 있다. 사진 제공, 앤디 올리버 목사.

웨슬리를 본받아 약자와 동행하는 목사

30대 초반 심장마비로 목회 현장을 떠났던 앤디 올리버 목사는 다시 교회로 돌아와 감리교 창시자 존 웨슬리처럼 사회적 약자와 동행하며 감리교인의 정체성을 실현하고 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