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틀랜타 평화의 소녀상 제막

조지아 주 애틀랜타 지역의 교회들과 교민들의 적극적인 도움과 한인회의 노력으로 무산될뻔한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드디어 이루어졌다. 지난 6월 30일(금) 오전 10시에 조지아 주 Brookhaven시의 Blackburn Park II 공원에서는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이 있었다. 장대비가 쏟아지던 이 제막식에는 Brookhaven시의 시장을 포함한 지역 인사, 애틀랜타 한인회, 그리고 교민 등 약250여 명이 참석하였고, 어린 자녀들을 데리고 온 교민 가족들도 많이 눈에 띄었다. 또한, 이 제막식을 취재하기 위해 온 지역 방송국과 한국 방송국, 그리고 일본 방송국 등에서 열띤 취재 경쟁을 벌이기도 했다.

애틀랜타 평화의 소녀상은 처음 애틀랜타 민권센터에 설치하기로 했으나 설치 결정이 번복되는 등 여러 설치 반대 로비에 어려움을 겪기도 했지만 Brookhaven시 관계자들의 이해와 결정으로 건립할 수 있었다. Brookhaven시의 John Arthur Ernst Jr. 시장은 환영의 인사를 통해 자신도 에모리 대학에서 역사학을 전공한 사람으로서 역사를 바로 정의하는 것이 얼마나 중요하다는 것을 알고 있다고 말하며, 역사적으로 또한 사회적으로 의미 있는 소녀상이 자신이 시장으로 있는 Brookhaven시에 세워지게 됨을 뜻깊게 생각한다 고 말하며, 성매매, 인신매매 등 요즘의 사회 이슈와 연계하여 이 평화의 소녀상 건립이 과거의 역사뿐 아니라 미래를 세워가는 일이라고 말했다.

아틀란타한인교회(김세환 목사) 교인인 김백규 건립위원장은 “이는 한국과 일본의 정치적 이슈가 아닌 인권의 문제”라고 전제하고, 어두운 역사 속에 수많은 어린 여성들이 성적 노예로 이용되었고, 이는 왜곡되거나 잊어서는 안 될 역사이며, 이러한 것을 배워 앞으로 인권에 대한 관심과 노력이 더욱 높아지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또한, 그는 여러 교회의 관심과 도움에 감사를 표했다. 김세환 목사도 교인들의 전적인 지원이 있었다고 말하며 이 뜻깊은 일에 함께해서 기쁘다고 말했다.

이번 제막식에는 위안부 피해 생존자 중 최연소(90세)인 강일출 할머니가 참석해 그 의미를 더했다. 강일출 할머니는 16살 때 끌려가 짐승처럼 취급 받던 그 당시 상황을 참석자들에게 전하며, “내 고향이 경북 상주”라는 말을 여러 번 말하며 전쟁 후에도 고향에 돌아가지 못했던 아픔을 말하기도 했다. 전날 29일(목)에는 교민 약 400여 명이 모여 “아직도 끝나지 않은 이야기 소녀상”이라 주제로 평화의 소녀상 제막식 전야제 축하 행사가 있었다. 이 전야제에서도 강일출 할머니는 평화의 소녀상을 위해 도움을 준 미국인들과 우리 동포들을 잊지 않겠다는 감사의 인사를 했다. 이 전야제에서는 특히 아틀란타한인교회 오케스트라와 어린이 합창단이 애국가 멜로디의 곡 연주나 ‘고향의 봄’ 등의 가곡을 불렀다.

이 애틀랜타 평화의 소녀상은 캘리포니아 주 Glendale 시립 중앙도서관 앞과 미시간 주 사우스필드 한인문화회관 정문에 이어 미국에서는 세 번째로 세워진 것이다.

글쓴이: 이승필 목사,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올린날: 2017년 7월 10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사회적 관심
5월 아시안 유산의 달을 맞아,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태스크포스는 <아시아계 미국인의 자화상>을 주제로 첫 웨비나를 열었다.  두 번째 웨비나는 오는 5월 19일에 열릴 예정이다. 그래픽,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태스크포스.

아시안 유산의 달에 살펴본 아시아계 미국인의 자화상

한인목회강화협의회 인종정의태스크포스는 5월 아시아계 미국인 유산의 달을 맞아, 아시아계 한인 이민자의 정체성과 경험을 조명하는 웨비나 시리즈 첫 시간을 가졌다.
선교
2025년 4월 23일, 정희수 감독이 이끄는 오하이오 감독구 지도자들이 서울 합정동에 위치한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을 찾아 윌리엄 스크랜턴 선교사와 그의 어머니 메리 스크랜턴 선교사를 기리는 기념비 제막식에 참석했다. 사진은 양화진외국인선교사묘원에 제막된 윌리엄 밴턴 스크랜턴 선교사와 메리 스크랜턴 선교사 기념비.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오하이오 지도자들 스크랜턴 선교사의 발자취를 따라 한국을 방문하다

연합감리교회 오하이오 감독구 지도자들이 미감리교회가 1885년 한국에 파송한 선교사 윌리엄 스크랜턴과 메리 스크랜턴의 선교 발자취를 밟기 위해 한국을 방문했다.
사회적 관심
6월 둘째 주는 ‘한반도평화옹호주간’이다. 이를 위해 5월 29일 오후 8시(미 동부 시간 기준)에 미연방하원의원 및 상원의원실 직원들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 공개 교육을 진행한다. 지난 2018년 7월 26일부터 28일까지 미국 워싱톤 DC에서 열린 한반도평화축제에서 참가자들이 한반도의 평화를 외치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 사회부 연합감리교인들에게 ‘한반도평화옹호주간’ 적극 참여 요청

6월 둘째 주는 ‘한반도평화옹호주간’이다. 이를 위해 연합감리교회 사회부와 세계선교부를 비롯한 연대 기관들의 연합체인 액션네트워크(Action Network)는 5월 29일 오후 8시(미 동부 시간)에 연방하원의원 및 연방상원의원실 직원들과의 대화를 중심으로 한 온라인 공개 교육을 화상(Zoom)으로 진행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