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의 수요일 (Ash Wednesday)

교회력에 따르면 이번 주 수요일은 사순절이 시작되는 첫 날입니다. 이 사순절의 첫 날을 우리는 재의 수요일이라고 말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이 재의 수요일로부터 기독교의 사순절이 시작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 재의 수요일에 반드시 하는 의식이 하나 있습니다. 바로 이마에 십자가 모양으로 재를 바르는 것입니다. 그런데 여러분께서는 왜 이마에 재를 바르는지를 아십니까?

성경에서는 “재를 뒤집어쓰는 것”을 회개의 한 행위로 간주합니다. 예를 들면, 욥이 하나님께 두 번째 응답하는 부분인 욥기서 42장 6절에 보면, 욥은 “티끌과 잿더미 가운데서 회개”한다고 고백합니다. 다니엘서 9장은 포로 이후 공동체의 회개기도로 다니엘의 기도를 소개하고 있습니다. 다니엘서 9장에서 다니엘은 “금식하며, 베옷을 입고, 재를 무릅쓰고 하나님께 기도하였다”고 기록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구약성경에서 우리는 “재를 쓴다는 것”이 바로 자신의 잘못을 회개한다는 의미로 받아들일 수 있습니다. 재의 수요일에 우리가 이마에 재를 바르는 행위 역시도, 지난 날 우리의 죄와 허물을 우리 스스로가 재를 뒤집어쓰듯이 회개한다는 의미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구약에서의 '재'란 “회개를 상징하는 것뿐 아니라, 인간은 하나님 없이는 살 수 없는 존재라는 의미”를 또한 가지고 있습니다. 우리가 재의 수요일 재를 이마에 바르는 의식을 행하며, 창세기 3장 19절의 말씀을 상기합니다. 하나님께서 창조하신 인간인 아담이 죄를 범한 후, 하나님께서는 그에게, “너는 흙이니 흙으로 돌아가리라”라고 말씀하셨습니다. 인간은 신이 아니라 창조된 존재라는 것을 말씀하시는 것입니다. 또한 인간은 스스로 구원할 수 없으며, 인간은 사망의 문제, 즉 죽음을 피할 수 없는 존재라는 것을 말씀하신 것입니다.

창조자 하나님이 창조하신 인간의 대표인 아담에게 인간은 “흙으로 돌아가는 유한한 존재”라는 것을 상기시키고 있는 것입니다. 고대 바벨론 신화 중 하나인 길가메쉬 서사시에는 길가메쉬라는 주인공이 “유한한 인간이 영원한 신의 세계에 참여할 수 있는가?”라는 질문을 영원한 생명을 얻은 유트네피스팀에게 던집니다. 그리고 유트네피스팀은 인간이 스스로 영원한 생명을 얻을 수 있는 방법을 길가메쉬에게 알려줍니다. 그러나 성경은 고대 바벨론이 가졌던 세계관과 다른 관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성경은 분명히 우리에게 말씀합니다. 한 번 죽는 것은 정해진 사실이고, 그 후에는 반드시 심판이 있다(히 9:27)고 말입니다. 인간은 스스로를 구원할 수 없으며 또한 영원한 생명을 가진 존재이지도 않습니다. 우리가 흙으로 창조되었기에 흙으로 돌아갈 수밖에 없는 존재인 것입니다.

바로 재의 수요일이란 이런 우리의 실체을 다시 한 번 생각해 보고, 우리의 삶을 깊이 성찰하는 날입니다. 언젠가는 흙으로 돌아가니 세상이 주는 영예와 물질의 유혹에 매이지 말고, 하나님 없이 살 수 없는 인간의 연약함과 부족함을 고백하는 뜻깊은 날입니다.

2016 한인총회 사순절 기도 묵상집 (PDF)

올린날: 2016년 2월 9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신학
조엘 마르티네스(Joel Martínez) 감독이 2011년 텍사스 엘파소에 있는 리디아 패터슨 신학교(Lydia Patterson Institute)에서 개최된 연합감리교회 히스패닉 전국 단체인 마차(MARCHA) 모임의 개회 예배에서 성찬식을 집례하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성만찬 테이블 위에 놓아야 할 것과 놓지 말아야 할 것에는 무엇이 있나요?

성만찬 테이블에 있어야 할 것은 성찬식을 거행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 그 이상도 이하도 아닙니다.
신학
뉴올리언즈의 제일그레이스연합감리교회 션 모세 목사(오른쪽)가 교회에 등록한 교인 가정을 환영하고 있다. 사진, 캐티 길버트, 연합감리교뉴스.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으로 등록한다는 의미는?

'연합감리교회의 교인'이 된다는 것은 이 땅에 하나님의 나라를 세우고자 오셨던 예수 그리스도를 따르는 이들의 모임에 동참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교회 역사
세인트조오지 연합감리교회는 1769년부터 감리교인들의 예배 처소로 사용된 역사적인 교회로 연합감리교인이라면 반드시 방문해야 할 장소 중 한 곳입니다. 사진 제공, 연합감리교 공보부.

최초의 미국 감리교 연회는 어디서 시작되었을까요?

미국 내 모든 감리교 설교자들의 모임과 더불어, 소규모 단위의 각 지역 모임들이 매년 소집되어 지역 내 설교자를 임명하기 시작했고, 이 소규모 지역 회의들은 오늘날 연회라고 불리는 모임의 시조가 되었습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