발가락이 닮았다

야곱의 자녀 중 '나와 연합하리라'는 이름을 가진 레위라는 아들이 있습니다. 후에 이스라엘의 제사장과 성전 중심의 거룩한 사역을 감당하는 귀한 지파가 됩니다. 연합하는 자에게 주시는 특별한 은총이라고 생각이 됩니다. 시편 133편에서 "보라 형제가 연합하여 동거함이 어찌 그리 선하고 아름다운고"라고 불렀던 이 노래는 뜻밖에도 성전으로 올라가며 부르는 찬양이었다는 것입니다. 하나님을 높이며 경배하기 위해 성전을 향해 올라가며 서로 연합하는 것이 아름다운 것이라고 찬양하는 것은 연합한다는 것이 하나님께 예배하려는 이들에게 얼마나 중요한 것인지를 알려주는 말씀이라 여겨집니다. 연합하여 하나가 되기 위해 치루어야 하는 대가라면 그것이 무엇이든지 분명 가치있는 헌신이 될거라 생각합니다.

김동인씨가 쓴 단편소설 중 "발가락이 닮았다"라는 소설이 있습니다. 아이를 낳을 수 없는 남편이 있었는데 아내가 임신을 했고 아이를 낳았습니다. 기가 막힌 일이었지만 아내를 용서하고 이 아이를 받아드리기 위해서 이 남자는 태어난 아이와 닮은 곳을 찾아봤지만 아무리 보아도 닮은 곳이라고는 하나도 없었습니다. 그런데도 이 아이를 내 자식을 품기 위해서 닮은 곳을 계속 찾다가 드디어 하나를 발견했습니다. 바로 자기의 발가락 중 가운데 발가락이 길었는데 아기의 가운데 발가락이 긴 것을 찾아내게 되었습니다. 이를 보고 기뻐하며 "발가락이 닮았다" 하며 소리치는 장면이 나옵니다. 참 눈물 겨운 노력입니다. 받아드릴 수 없는 상황이지만 용서하고 받아드리기 위해 자기와 닮은 어떤 구석을 찾아보려는 노력은 참 애절하기까지 합니다. 아내와 연합하고 아기와 연합하기 위해 닮은 것을 찾으려는 애씀! 바로 이것이 지금 우리가 해야할 일입니다.

모든 것에는 벽이 있지만 반면에 벽에는 반드시 문이 있다는 말이 있습니다. 성도 간에, 가족 간에, 교회 간에, 세대 간에 이 문을 찾으려는 애씀이 바로 연합하는 것이 아름답다고 하시는 주님 앞에서 행할 우리의 일인듯 싶습니다. 닮은 발가락을 어떠하든지 찾으려는 이들, 그래서 소통의 길을 터보고 사랑하며 사는 길을 찾아보려는 이들이 좀 더 많았으면 좋겠습니다.

하늘과 땅을 잇기 위해, 그리고 순간과 영원을 이어주기 위해 생명의 대가를 기꺼이 치뤄주신 주님의 마음 또한 그리 다르지 않을 거라 여겨집니다. 이 세대의 촛불을 킬 수 있는 제사장은 연합하는 자의 자리에서 세워질 것이라 믿기 때문입니다.

글쓴이: 주활 목사, 솔즈베리감리교회 MD
올린날: 2013년 6월 24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사회적 관심
동오하이오 연회와 서오하이오 연회를 이끄는 정희수 감독. 사진, 필자 제공.

교회는 모든 사람의 성소(sanctuary)가 되어야

정희수 감독은 교회가 이주민, 서류 미비 가정, 취약 계층, 그리고 모든 소외된 이들을 위해 함께 기도하며, 하나님의 백성으로서 우리가 서로에게 자비를 베풀고 사랑이 가득한 세상을 만들어 가기를 진심으로 기도한다.
개체교회
덴마크 화가 Carl Bloch가 1877년에 그린 산상수훈 (Sermon on the Mount). 출처,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우리가 전해야 할 설교는? 그리고 마리안 에드거 버드 감독의 설교

현혜원 목사는 “이스라엘만 사랑하고 이방인은 사랑하지 않는 하나님이 우리가 믿는 하나님인 걸까요? 아니면 이방인들, 잊힌 자들, 멸시받는 자들을 택하고 부르시는 분이 우리의 하나님인가요?”라고 묻고, 합당한 삶으로 설교하라고 초대한다.
개체교회
레오폴드는 "대지의 모든 구성원은 그 자체로 가치가 있다."라는 철학적 입장을 통해 자연 보존의 윤리적 기준을 제시하였다. 그래픽 출처, 수재모 “레오폴드의 대지윤리” 통합적 접근 네이버 블로그.

생태계 보전(保全)을 위하여

오정선 목사는 서구의 정신과 동아시아 유교의 윤리적이고 영적 차원을 상호 존중하는, 그리고 상호 보완을 하는 대화를 통해 생태계 보전(保全)과 생태계 위기를 지구공동체가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대안적 모델을 찾아야 한다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