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금지어

Translate Page

지난 주, 저의 관심을 사로잡은 뉴스가 하나 있었습니다. 페이스북(Facebook)의 최고 경영자 중 한 사람인 쉐릴 샌버그(Sheryl Sandberg)가 ‘Ban Bossy Campaign'을 시작했다는 뉴스입니다. 샌버그는 최근에 이라는 책을 펴냈는데, 그 책에서 주장한 내용을 사회 운동으로 확산시키려고 세를 모으고 있다는 소식이었습니다.

영어로 bossy라는 말은 ‘보스처럼 행동하다’는 뜻입니다. 우리말로 하자면 ‘나서다,’ ‘주장하다’ 혹은 ‘드세다’가 가장 가까울 것입니다. 이 단어를 여성에게 사용하지 말자는 것입니다. Negro라는 말이 사회적으로 금지어로 취급받고 있는 것처럼, bossy라는 말을 여성에게 사용하지 않는 풍토를 만들자는 것입니다. 여성들이 어릴 때부터 이 단어로 억압을 당한 까닭에 성인이 되어 자기의 잠재 능력을 발휘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샌버그가 여러 나라를 다니며 실험을 해 보았다고 합니다. 남자 아이들과 여자 아이들을 모아 놓고 “여러분 중에 bossy라는 말로 행동에 제재를 당해 본 사람은 손들어 보세요”라고 물었습니다. 그렇게 질문해 보면 한 나라도 예외 없이 남자 아이들은 거의 손을 안 드는데 반해, 여자 아이들은 열에 아홉은 손을 들었습니다. 이 실험을 통해 샌버그는 여성이 지도적인 역할을 하는 것에 대한 문화적인 숨겨진 억압이 모든 나라에 있음을 확인했습니다. 그것이 무의식중에 여성들을 뒤로 물러서게 만들고 있음을 발견한 것입니다.

과거에 비한다면 지금은 여성의 권리가 많이 커졌습니다. 제가 학교에서 가르칠 때만 해도 상위권 학생들의 절반 이상이 여학생들이었습니다. 정치, 경제, 종교, 교육, 문화 등 여러 분야에서 여성들의 지도력이 점점 높이 인정받고 있습니다. 하지만 통계적으로 뿐 아니라 실질적으로도 여성들은 남성들에 비해 여전히 불이익을 당하고 있습니다. 한국 신문에서는 아직도 ‘여성 최초’라는 수식어를 자주 보게 됩니다. 그런 점에서 저도 Ban Bossy 캠페인에 적극 찬성입니다.

제 딸이 태어났을 때 하나님께 올렸던 기도가 생각납니다. “제 딸이 여성이라는 이유로 제약받지 않는 시대에 태어나게 해주셔서 감사합니다.” 그 옛날, 정신대로 딸을 보내야 했던 부모들의 심정을 생각해 보면, 아찔합니다. 그러니 여성의 권리가 이만큼 신장된 것이 감사하지요.

그러나 아직도 부족하다는 것입니다. 그러한 차별이 옳지 않다고 생각하신다면, 오늘부터 우리도 가정에서, 교회에서 혹은 직장에서 여성들에게 “나서지 말라” 혹은 “왜 그렇게 드세냐?”는 말을 하지 말아야 하겠습니다. 아무도 차별 받지 않고 모두가 행복한 세상, 그것이 하나님께서 보고 싶어 하시는 세상입니다. 그런 세상을 꿈꾸며 기도합니다.

 

리더쉽
엘리자베스 슈레이더는 파피루스 66의 요한복음 필사본에서 마리아가 마르다로 수정된 사실을 발견했다. 사진은 파피루스 66에 있는 요한복음 11장 3절에서 마리아의 이름이 마르다로 바뀐 부분. 이미지 출처, 위키미디어커먼스.

마리아와 마르다는 동일 인물인가?

현혜원 목사는 최근 연구된 자료를 근거로, “가로되 주여 그러하외다 주는 그리스도시요 세상에 오시는 하나님의 아들이신 줄 내가 믿나이다.”(요한복음 11장 27절)라고 고백한 마르다는 마리아이며, 타워(탑, 塔)를 의미하는 막달라는 마리아의 별칭이었다고 말한다. 자세한 내용은 본문에서 확인할 수 있다.
사법위원회
2016-2020년 사법위원회 위원들. (앞줄 왼편부터) 디넬 리스 타차, 엔 오스왈드 트웨 시니어, 루안-부 트랜 목사. (뒷줄 왼편부터) 리디아 로마오 구레레, 고(故) 루벤 티 레이스, 위빈트 헬리젠 목사, 데니스 블랙웰 목사, 제이 카밤바 키보고목사. (베스 케이픈은 사진에 없음) 사진, 케이트 베리, 연합감리교뉴스.

사법위원회 각 연회의 성소수자 관련 결의안에 대해 판결하다

연합감리교회 사법위원회는 가을 회기 심의안 중 각 연회에서 결의한 성소수자들의 지위에 관한 세가지 결정과 두 개의 각서를 발표하고, 아프리카의 감독 선거에 관한 결정 요청에 응답했다.
사회적 관심
2019년 8월 인천 퀴어 문화 축제에서 성소수자들을 축복하고 있는 목사들. 왼쪽부터, 최근 고인이 된 한국기독교장로회 소속의 임보라 목사(섬돌향린교회 담임)와 성공회 소속의 김돈회 신부(인천나눔의집), 기독교대한감리회 소속의 이동환 목사(영광제일교회). 이동환 목사가 속한 기독교대한감리회는 이 목사에게 정직 2년을 선고했다. 사진 출처, 뉴스앤조이.

이 사람을 소개합니다 2: 예수님의 삶을 따르고자 하는 맘으로

퀴어 문화 축제에 참석해 축복기도를 했다는 이유로 기독교대한감리회에서 정직 2년을 선고받은 기독교대한감리회 경기 연회 소속 이동환 목사(영광제일교회)와의 인터뷰 내용이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3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