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슴 뛰는 일

사람들은 다 생업과 관계없이 좋아하는 것들이 한 두 가지씩은 있습니다.
생업은 그 업종이 적성에 맞고, 정말 좋아서 하기도하지만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가족들을 부양 해야하는 책임감에, 또는 전공이 그 분야라서, 또는 어쩌다 보니 그 길로 발을 들여놓았는데 방향을 바꾸기에는 너무 늦어서... 이런 저런 이유로 직장이나 생업은 나의 적성과 취미와 상관없이 하기도 합니다.
그래서 ‘언젠가는 이걸 꼭 해보고 싶은데’ 하는 취미나 꿈, 그런 것을 가슴에 품고 ‘애들 좀 키워 놓고 나서, 형편이 좀 나아지면, 시간이 넉넉해지면, 은퇴하고 난 후에, 여건이 되면 ...’ 이러면서 언젠가 해볼 수 있는 기회를 만들리라 생각하면서 살아갑니다. 그것이 운동일수도 있고, 악기를 배우는 일 일수도 있고, 글을 쓰는 것일 수도 있고, 여행을 하는 것일 수도 있고, 노래나 스포츠 댄스 같은 것을 배우는 것일 수도 있고....그런데 그런 꿈을 펼치기 위한 시간과 기회는 내가 애써서 만들지 않으면 제 발로 걸어서 내게로 오지 않는 것 같습니다. 더 중요한 것이 먼저라고...또 형편과 시간이 안된다고 늘 미루면서 살기 때문입니다.

이런 우리들의 상황과 심리를 영화로 만든 것이 있는데, ‘브라보 마이라이프‘라는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꿈꾸는 사람들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이제 중년에 접어든 사람들, 그들도 가슴 한 켠에 늘 꿈을 지니고 있었는데 그들의 현실은 그들이 그 꿈을 실현하도록 놔두지 않았기에 세월은 유수와 같이 흘러가 버립니다. 처자식을 먹여 살리기 위해 접어야 했던 음악에 대한 열정, 밴드의 꿈, 이미 인생의 저편으로 멀어져 버린 줄만 알았던 꿈들이 어느 날 새록새록 가슴에서 살아나고, 그런 사람들이 다시 한자리에 모이고, 그래서 이루지 못한 꿈과 열정을 다시 찾아 현재진행형으로 만들어가는 남자들의 이야기가 바로 ’브라보 마이라이프‘라는 영화입니다.

자기가 꼭 하고 싶은 일, 정말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사는 사람들의 얘기를 들어보면 그 일을 할 때면 너무 좋아서 언제나 가슴이 뛴다고들 말합니다. 마치 연애하는 사람들이 애인을 만나러 갈 때 가슴이 뛰듯이 말입니다. 여러분들은 어떤 일이 그렇게 가슴이 뛰도록 좋아하는 일, 하고 싶은 일인지요? 어떤 분은 뒤늦게 그림 그리는 것을 시작했는데 자기에게 그림 그리는 재능이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되었고, 또 하면 할수록 그렇게 재미있을 수 없다는 사람도 있고, 또 어떤 분은 악기를 배우는데 신바람이 나서 연습을 하고, 그 재능을 남들과 나누는 모습도 봅니다. 또 초록색 필드만 보아도 여기저기 쑤시던 몸이 다 나은 것 같고 저절로 에너지가 생긴다는 사람들도 있습니다. 제 아내는 바느질이 너무 좋아서 옷감가게 근처에만 가면 어떤 새로운 옷감이 자기를 기다리고 있을까 생각하면서 가슴이 뛴다는 소릴 평생 듣고 삽니다. 저는 테니스가 취미입니다. 잘 치는 사람과 테니스를 치는 것은 생각만 해도 좋습니다.

하고 싶은 일을 하면서 마음이 설레이고 가슴이 뛴다는 것은 참 좋은 것입니다.
그것은 우리의 삶에 생동감이 될 수도 있고, 활력소가 될 수도 있습니다. 그 취미와 꿈을 펼치면서 스트레스가 날아가고, 그래서 자기가 행복해지는 것은 물론이고 그 취미와 재능을 남들에게까지 나눌 수 있다면 그것은 보람까지 덤으로 가져다 줍니다.
가슴 뛰도록 좋은 일, 가슴이 설레이도록 행복해지는 일 하나쯤을 가지고 즐기며 산다면 좀 더 생동감 있고, 맛이 있고, 풍요로운 우리네 삶이 되지 않을까 생각해 봅니다.

글쓴이: 송중남 목사, 델라웨어한인감리교회, DE
올린날: 2015년 3월30일, 연합감리교회 공보부, TN

개체교회
새로운 속회(소그룹) 교본, <비유를 들어 말씀하시니…>가 출간되었다. 이번 교재는 연합감리교회 한인선교구가 발행하고, 한인목회강화협의회와 연합감리교회한인총회가 후원했다. 제공, 안명훈 목사, 연합감리교회 한인선교구.

속회의 네비게이션, 새 속회 교재 <비유를 들어 말씀하시니…>

새로운 속회(소그룹) 교본, <비유를 들어 말씀하시니…>가 출간되었다. 이 책은 단순한 속회 지침서를 넘어, 속회 내비게이션이라 불릴 만큼 세밀하고 실용적인 안내서다.
개체교회
『새 개정 로버트의 의사규칙』 제12판 표지. 사진 출처, 교보문고 홈페이지.

교회와 사회의 민주적 의결 과정의 나침반, 『새 개정 로버트의 의사규칙』 제12판

연합감리교회 은퇴 목사이자 미 의사진행전문가협회 회원인 김찬희 박사가 번역한 『로버트의 의사규칙 제12판에 따른 회의진행 길잡이』는 복잡한 회의 절차를 쉽게 익힐 수 있도록 요약한 입문서로, 민주적 의결 과정을 돕기 위해 출간되었다.
개체교회
영화 <장미의 이름>의 소재가 된 울베르토 에코 장편소설 <장미의 이름>의 표지 중 일부.

영화 《장미의 이름 The Name of the Rose》에 나타난 기독교윤리 1-2

아리스토텔레스 철학은 중세 기독교 신학에 깊은 영향을 미치며 중용의 교리와 신앙의 실천이 조화를 이루어야 한다는 통찰로 이어졌다. 김영일 교수는 종교는 인간에게 의미와 소속감, 평화와 윤리, 더 나아가 사회 통합과 변화의 동기를 제공하는 중요한 사회적 기능을 수행하며, 사회를 외면하는 교회는 살아 있는 교회가 아니라고 말한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