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월 13일은 미주한인의날(Korean-American Day)

한인연합감리교회의 시작과 미주 한인의 역사는 동시에 시작되었다. 미주 한인 이민사와 한인연합감리교회의 100년간의 역사가 고스란히 담긴 비디오. 제공, 연합감리교 공보부.  

2024년 1월 13일은 미주한인의날(The Korean American Day)이다. 이날은 1903년 1월 13일 최초의 한인 이민자가 미국에 첫발을 디딘 것을 기념하고, 재미 한인들이 미국 사회에 끼친 지대한 공헌을 기리기 위해 제정되었다.  

두루알리미 광고 박스 이미지 연합감리교뉴스에서 제공하는 주간 e-뉴스레터인 <두루알리미>를 받아보시려면, 지금 신청하세요.

인천에서 출발한 한국인 첫 이민자들은 1902년 12월 22일 호놀룰루 입항을 허가받고, 이듬해인 1903년 1월 13일 하와이에 발을 디뎠다.

그로부터 100년이 지난 2003년, 조지 W. 부시 대통령은 한인 이민 100주년을 기념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후 2005년 12월 13일에 미국 하원이, 그다음 날인 16일에는 미국 상원이 만장일치로 미주한인의 날 지정을 지지한다는 간단한 결의안을 통과시키자, 전국 각 주에서는 1월 13일을 미주한인의 날로 지정하는 법안이 우후죽순처럼 통과되었다.

한국과 미국은 고종 즉위 19년인 1882년 5월 22일(음력 4월 6일) 제물포에서 체결된 조·미수호통상조약(Treaty of Peace, Amity, Commerce and Navigation, Korea-United States Treaty of 1882)을 통해 정식 외교 관계를 성립했다. 이 조약은 조선이 서양 국가와 맺은 최초의 수호 통상 조약이다.

한국인의 미국으로의 이민은 조미조약이 체결된 지 20년 후인 1902년 12월에야 시작되었다. 102명의 한인 이민자가 SS겔릭호를 타고 하와이 호놀룰루로 출발한 이래, 2년 동안 7,500명 이상의 이민자가 미국에 도착했을 뿐 아니라, 1970년에 이르러서는 이민과 유학의 붐을 타고 많은 한국인이 미국으로 이주했다.

2021년 발표된 센서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약 194만5천880명의 한인이 미국에 거주하고 있으며, 해외 지역을 통틀어, 미국은 중국 다음으로 한국인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나라이다.

미국 내에서 한국인이 많이 거주하는 10대 주는 캘리포니아가 56만2천 명, 뉴욕에는 134만2천 명, 뉴저지 11만여 명, 텍사스 11만1천여 명, 워싱턴9만7천여 명, 버지니아 9만3천여 명, 일리노이 7만3천여 명, 조지아 7만2천여 명, 메릴랜드 6만여 명, 하와이 5만6천여 명 등이다.

한국 외교부는 유학생과 주재원 등 단기 체류자를 포함, 2021년 기준 재미동포 인구를 263만3천777명으로 파악하고 있다.

그리스도 한인연합감리교회의 역사는 한인 이민사이자 한인 교회의 역사라 해도 과언이 아니다. 1902년 12월 2일 제물포항을 떠난 첫 이민단 102명은 인천 내리교회를 포함한 서부지방의 여러 교회에서 모집된 감리교인들이었고, 그들이 하와이 수수 농장 노동자로 일하며 세운 교회가 하와이 그리스도 한인연합감리교회이기 때문이다.

한인들이 가장 많이 거주하는 지역인 로스앤젤레스의 한인교육원은 미주한인의 날을 맞아 실시했던 가을 미술대회의 입상자들의 작품을 2023 미주한인의 날 기념 미술대회 온라인 전시회라는 이름으로 유튜브에 전시하고 있다. '자랑스러운 대한민국, 자랑스러운 미주한인'을 주제로, 미국 사회에 정착한 한인들의 기여와 문화를 독창적으로 표현한 작품들을 심사하여 입상자들을 정했다.

이 밖에도 미주 각지에서 다양한 행사가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될 예정이니, 자세한 사항은 자신이 거주하는 지역의 한인회에 문의하기를 바란다.

김응선 목사는 연합감리교뉴스의 한국/아시아 뉴스 디렉터입니다. 연합감리교뉴스에 연락 또는 문의를 원하시면, 김응선 목사에게 이메일 [email protected] 또는 전화 615-742-5109로 연락하시기 바랍니다. 연합감리교뉴스를 받아보기를 원하시면, 무료 주간 전자신문 두루알리미를 신청해 주세요.



 



개체교회
영화 <Her(그녀)>의 트레일러 갈무리.

인공지능 HER의 사랑과 외롭고 불완전하고 서툰 인간의 사랑과…

현혜원 목사는 “하나님은 완벽한 기계의 논리 속이 아니라, 때로는 미숙하고 불안정하지만, 진심으로 서로를 사랑하려는 사람들 사이에 거하십니다.”라고 말한다.
사회적 관심
2023년 8월 28일부터 이틀간 열린 제4차 KMC-UMC-WMC 한반도 평화를 위한 라운트테이블에 참석한 사람들의 모습.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예수님의 눈물: 한인 디아스포라의 메시아적 희망과 해방 3

정희수 감독은 예수의 눈물이 한인 디아스포라에게 친숙한 신학적 담론을 형성하여, 고통과 분열 속에서도 신앙을 통해 새로운 자아와 정체성을 찾으며, 트라우마와 눈물 속에서 하나님의 나라를 위한 희망과 화합의 세계를 꿈꾸며 살아왔다고 말한다. 이 글은 정 감독의 글 3편 중 3편이다.
신학
클라우디아 텔리 운게산이 코트디부아르의 맨에 소재한 템플 엠마누엘 연합감리교회 예배에서 찬양을 부르고 있다. 사진, 마이크 두보스, 연합감리교뉴스.

부활절은 언제까지이고, 그다음은 무슨 절기인가요?

부활절 절기는 부활절 주일 전날인 토요일 일몰에 시작하여, 성령의 오심과 교회의 탄생을 축하하는 오순절이 시작하는 50일 간으로, 그리스도인들이 신앙 안에서 성장하도록 돕는 시기입니다.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is an agency of The United Methodist Church

©2025 United Methodist Communications.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