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종간의 정의

사회적 관심
연합감리교회 라트렐 이스털링 감독(Bishop LaTrelle Easterling)이 2020년 6월 3일 워싱턴 백악관 근처에서 열린 반인종주의 집회에서 기도를 인도하고 있다. 사진 제공, 멜리사 라우버(Melissa Lauber), 볼티모어-워싱턴 연회.

감리교는 훨씬 더 일찍 “깨어났어야(Woke)”

<교회가 깨어났을 때>는 미국 종교사와 감리교 신학의 진리를 다룬 책이다. 이 책은 교회가 깨어나고 정신 차렸을 때, 내세에 대한 진리와 희망을 제공하며, 그것은 그 희망이 교회에서 시작된다는 메시지를 담고 있다.
리더쉽
애틀랜타에 소재한 흑인 감리교 지도자 양성의 산실인 갬몬신학대학원에서 2022년 9월 26일에 열린 한인목회강화협의회에 참석한 (앞줄 오른쪽부터) 장학순 목사, 정희수 감독, 제임스 스완슨 감독 그리고 다이나 라일과 갬몬신학대학원 관계자 및 다수의 임원들이 활짝 웃고 있다. 사진, 김응선 목사, 연합감리교뉴스.

한인 교회의 미래와 인종정의에 초점을 맞춘 2022년 한인목회강화협의회가 열리다

한인목회강화협의회가 지난 9월 26일부터 28일까지 사흘간 애틀랜타에 소재한 갬몬신학대학원에서, “힘으로 되지 아니하며, 능력으로 되지 아니하고, 오직 나의 영으로”(스가랴 4:6)라는 주제로 열고, 한인 교회 사역 현황과 인종정의에 관해 논의했다.
개체교회
아시안연합감리교연맹(New Federation of Asian American United Methodists (NFAAUM)의 페이스북 사진 갈무리.

아시안연합감리교연맹이 라는 성명을 발표했다

6월 5일, 아시안연합감리교연맹은 최근 일어난 세 명의 한인 목회자 파송 중단 조치에 우려를 표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사회적 관심
대뉴저지연회의 한국계 미국인 목회자들이 아콜라연합감리교회에 모여 인종차별에 항거하는 의미를 담은 촛불기도회를 열었다. 사진 제공, 대뉴져지 연합감리교회 한인 목회자 코커스 (Korean-American Clergy Caucus of GNJUMC).

나는 침묵...했다

침묵하다 침묵을 강요당하는 상황에 부딪힌 현실에서 벗어나, 인종차별과 폭력의 굴레를 벗어나기 위한 외침과 함께 하나님의 은혜를 구하는 한명선 목사의 시를 소개한다.
Loading